스승과 두 명의 제자가 서로 대화하는 방식이 독자로 하여금 흥미와 긴장감을 유발하게 하였다
p.115 시간을 세공하는 법의 핵심은 결국 시장이 자기가 하는 일의 가치를 인정하게 만드는 것
많은 직장인들은 자신의 시간을 회사에 제공하여 그 댓가로 월급을 받는다
나의 가치를 올리기 위해서는 시간을 세공하여야 한다
p.225 한 우물을 파는 것보다 훨씬 중요한 것은, 처음부터 물이 나올 자리인지 아닌지를 판단하는 고민이다
p.328 세상엔 세가지 사람이 있어요 주기만 하는 사람, 받기만 하는 사람, 받은 만큼만 주려는 사람. 성공하는 사람들의 공통점은 그들의 성향이 '주기만 하는 사람' 이라는 거에요 주기만 한다는 것은, 결국 사람들에게 끊임없이 빚을 지운다는 뜻이다 빚을 진 사람은 어떻게든 돌려주려고 노력한다
p.333 세상에 '고작'이란 일은 없어요. 어떠한 일이든 시간과 정성을 담으면 거기에서 자기만의 본질을 발견할 수 있어요.
작고 하찮은 일이라도 신경써서 하면 그 안에서 본질을 발견할 수 있다
p.347 남의 시간을 이용해 그 시간을 돈으로 바꾸는 구조를 설계하는 것, 그것이 시스템이다
p.360 한 걸음 한 걸음 자신의 생각과 걸음으로 내딛지 않는 사람은 결코 다음 걸음을 스스로 만들 수 없다
p.9 자본주의에 대해서 안다는 것은 복잡한 경제학을 배우는 것도 아니고, 나와는 상관없는 이론을 배우는 것도 아니다. 나의 행복과 내 가족의 미래를 준비하기 위해 반드시 알아야 하는 것, 그것이 자본주의에 대한 지식이다.
혹자들은 돈에 대해서 말하는 것이 마치 잘못된 것처럼 이야기하는 사람이 있다. 돈을 밝히는 사람으로 취급당하는 느낌이 들기 때문이다. 돈과 자본주의에 대해서 알아야 한다고 생각한다. 나와 내 가족을 지키고 행복한 미래를 준비하기 위해서 알아야 한다고 생각한다.
p.27 물가가 계속해서 오르는 비밀은 바로 '돈의 양' 이 많아졌기 때문이다. 돈의 양이 많아지면 돈의 가치가 하락하게 되고, 결과적으로 물가가 오르게 된다.
물가는 장기적 우상향한다. 돈의 가치가 떨어지기 때문에 이를 보완할 수 있는 장기적 우상향하는 자산을 구매해야 한다.
p.85 이자와 과거의 대출을 갚는 유일한 방법은 더 많은 대출을 주는 것입니다. 이것이 통화량을 팽창시키고 통화의 가치를 떨어뜨립니다
p.413 자본주의 사회에서 쇼핑은 패배가 예정된 게임이다. 우리가 자본주의 사회를 살면서 정말로 행복하고 싶다면, 소비에서 행복을 찾기보다는 내 주변 사람들과의 관계 맺음에서 답을 찾아야 할지도 모른다. 내 안의 감정을 관찰하고, 주변 사람들과의 관계 개선에서 스스로의 자존감을 회복하는 과정, 그 속에서 우리는 진정한 행복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소비를 해서 물건을 가졌을 때 행복감은 오래 가지 못한다. 작지만 소소하게 행복감을 줄 수 있는 경험을 많이 하는 것이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