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이 책은 팟캐스트 방송 '월급쟁이' 부자들의 진행자 쏘쿨님의 책입니다.

팟캐스트 방송을 주로 듣다가 책에 대한 언급이 가끔 나오는데, 이 책의 내용이 궁금해서 읽게 되었습니다.

 

이 책의 주된 내용은 내 집이 중요한 이유, 꼬마 아파트에 대한 이유와 특성, 서울과 수도권 지역에 대한 내용,

그리고 내 집 마련을 구체적으로 어떻게 해야하는지 시세 조사 등 그 방법들에 대하여 이야기 합니다.

 

 

p.27

전용면적 60m2(18평)가 좁다고? 천만의 말씀. 요즘 대두하는 미니멀 라이프나 '소박하게 살기' 에 동참해보자.

쓰지 않는 물건을 버리고 공간을 잘 활용하면 전용면적 43m2(13평)를 전용면적 60m2(18평)처럼 쓸 수 있다. 

작은 꼬마 아파트에 대해서 이야기 합니다. 사람들은 많이들 넓은평수 큰집에 살기 원하지만, 

보다 작더라도 효율적으로 사용한다면 그곳도 나의 애정어린 집이 될 수 있을 것입니다. 결국에는 마인드의 문제라고

저자는 이야기합니다.

 

 

p.79

콤팩트 시티(Compact City)라는 압축도시 개념이 요즘 세계적인 추세다. 초고층 건물 안에 첨단 주거시설, 사무 공간, 문화

체육 시설을 집약해 놓았다. 네덜란드 제2의 도시 로테르담은 대표적인 콤팩트 시티로 꼽힌다.

...

일본 정부도 2013년부터 다양한 세금 혜택을 통해 대도시 안에 주택, 직장, 쇼핑 편의시설들을 집중화하고 있다. 

이전에는 도시가 밖으로 팽창하는 시기였지만 21세기에는 안으로 압축되고 있다는 이야기입니다. 이처럼 서울과 수도권의 수요는 계속 될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p.209

전용면적 : 방, 거실, 화장실, 주방 등의 현관문 안쪽 면적

공용면적 : 계단, 복도+관리사무소, 노인정, 놀이터 등

주거 공용면적 : 계단, 복도 등

기타 공용면적 : 관리사무소, 노인정, 놀이터 등

서비스 면적 : 발코니

공용면적(분양면적) : 전용면적 + 주거공용면적

계약면적 : 공급면적 + 기타공용면적

 

p.211

면적계산표

공급면적

 

전용면적

 

m2

평형

m2

평형

105

32평

85미만

25평

80

24평

60미만

18평

70

21평

50

15평

60

18평

43

13평

50

15평

35

11평

 

 

p.217

베이(Bay)란?

해가 주로 드는 거실을 기준으로 향하고 있는 방과 거실이 몇 칸인지.

베이가 중요한 이유는 햇빛이 들어오기 때문

반응형
반응형

저자 : 김재수(렘군)

 

유튜브에서 부동산 관련 영상을 보다가 우연히 저자를 알게 되었습니다. 궁금증이 생겨 책을 찾아보게 되었고,

구매하여 읽게 되었습니다.

 

이 책은 크게 앞부분에서는 저자가 어떻게 해서 부동산 투자를 시작하게 되었고, 경제적 자유인이 되기까지의 내용들을 

담고 있습니다.

 그리고 실제 부동산을 투자할때 어떠한 기준으로 사고팔아야 하는지 고려해야 하는 부분들을 설명합니다.

신도시, 구도심이 어떻게 다른지 초보자가 지역분석을 하는 방법, 시세지도 만드는 법을 이야기합니다.

 

 

p.33

자본주의 사회에서 당신은 무엇을 교환하고 있는가? 회사에서 일을 하고 그 대가로 급여를 받는 것 외에 어떤 교환을 하고

있는가? 앞으로 교환을 선택하겠는가, 아니면 차곡차곡 돈만 모으겠는가?

...

교환을 통해 새로운 부를 얻는다면 이전과는 다른 수준의 돈을 벌수도 있을 것이다. 가장 큰 부자는 교환을 쉽게 할 수 있도록

생태계를 만드는 사람이고, 그보다 작은 부자는 교환을 잘 이용하는 사람이다.

자본주의 사회에서 교환이라는 개념에 대해 설명합니다. 우리는 살면서 어떤 것들을 교환하면서 살고 있는걸까요

직장에서는 나의 노동력과 시간을 교환해서 월급이라는 가치를 제공 받습니다. 이 교환이라는 수단을 어떻게 활용해야지 자본주의 사회를 잘 살아가는 것인지 생각이 들게끔 하였습니다.

 

 

p.78

오랜 기간 올랐다면 의심하자

 

일반적으로 지방은 2~4년, 수도권은 4~6년 정도 상승하는 경향이 있으니 너무 오랫동안 오른 것은 아닌지 체크해보기 바란다. 기간보다 중요한 것이 상승률이다.

...

상승률이 50퍼센트를 넘으면 매수보다는 매도하는 쪽으로 방향을 잡고, 신규 매수는 하지 않는 편이다.

...

중요한 건 돈을 잃지 않는 것이다. 손실을 피한다는 원칙을 지켜야 한다. 4년 동안 50퍼센트 이상 오르면 매도한다는건 나의 기준일 뿐 절대적인 건 아니다. 자신만의 기준을 만들고 상황에 맞게 수정해나가자.

 

 

p.86

전세가 남아돈다

 

지난달에 나온 전세 매물이 아직도 그대로인 상태에서 새 전세 매물이 쌓여간다면 결코 좋은 소식이 아니다.

...

만약 인접 지역 분양권에 프리미엄이 붙고 있다면 전세 매물이 쌓여도 큰 문제는 없다. 문제가 되는 상황은 주위에

공급이 많지 않은데도 전세 매물이 쌓일 때다.

반응형
반응형

 

저자 : 김준영

2020.01.23 - 3분의1 정도 읽음.

 

부동산 가격이 오르고 내리는 이유에는 어떤게 있을까요

그런게 궁금했습니다. 어떤 요인이 오르고 내리는데 작용을 하는 것일까 

이 책에서는 그 상승과 하락의 본질을 찾아가려고 합니다. 

 

상승기를 만들어내는 도시의 공급량과 수요, 그리고 시장이 어떻게 변해가며 가격 상승을 만들어내는지에 대해서

이야기 한다고 저자는 밝힙니다.

 

p.19

부동산은 거주와 자산이라는 본질이 기본이 되고, 다시 그 본질을 흔들며 움직이게 하는 것이 공급이다.

부동산의 주거와 자산이라는 본질을 흔들어 버리는 '공급' 을 가장 중요하게 봐야하며, 공급이 한 공간에서

어떤 작용을 하는지에 대해서 살펴보는 것이 이 책의 핵심이다.

저자는 '공급' 이라는 요인을 가장 중요하게 봐야 한다고 말합니다. 그런데 과연 '공급' 이라는 단순한 공식으로

가격이 결정되는 걸까 하는 의문을 가지면서 다음을 읽게 되었습니다.

 

 

물결효과

상승장에 들어선 도시의 한 지역에서 상승을 하면, 다른 지역으로 도미노처럼 번져가며 상승하는 것을 '물결효과'라고 한다.

보통 상승장에서 특정 지역 또는 특정 아파트만 상승하는 것이 아니라 대부분 지역의 비슷한 상품들이 지역 선호도의

차이에 따라서 가격 차이를 두고 가격이 따라가는 현상을 말한다.

가격 상승으로 만들어진 지역의 가격차이가 시차를 두고 움직이는 특성을 잘 안다면, 상승기에 꼭 매수 타이밍을 맞추지

않아도 된다. 먼저 움직이는 곳을 중심으로 해서 다음 지역을 선택하면 충분한 시간을 이용해서 투자할 수 있다. 

반응형

+ Recent posts